바뀜

이동: 둘러보기, 검색

스타크래프트

4,456 바이트 제거됨, 2016년 4월 20일 (수) 06:04
/* 영향 */
스타에디트({{lang|en|StarEdit}})라는 스타크래프트와 같이 설치되는 맵을 만들거나 편집할 수 있는 도구로 트리거(Trigger)라는 개념을 통해 특정한 논리를 사용자 맵 내에 삽입시킬 수 있게 되었다.
이로 인해, 스타크래프트의 멀티플레이 네트워크의 명칭인 배틀넷에서는 본래의 스타크래프트 게임과는 관계 없는 '유즈 맵 세팅' 이라는 별개의 게임이 성행한다. 이들 게임은 유닛의 이름, 속도, 공격력, 방어력, 체력, 생산비용, 생산시간, 업그레이드 시간, 보유 에너지량 등을 변경할 수 있다.
 
== 영향 ==
=== 대한민국에서의 성공과 영향 ===
《스타크래프트》는 [[1998년]] 출시된 오래된 게임이지만, [[2015년]]까지 [[대한민국]]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게임의 하나로 꼽혔다.<ref name="star2_chosun">{{웹 인용 |url=http://game.chosun.com/site/data/html_dir/2007/09/28/20070928000017.html |제목=
스타크래프트2, ‘스타’ 넘어야 경쟁력 생긴다 |저자=최승진 |출판사=게임조선}}</ref><ref name="gamerank">{{웹 인용 |url=http://www.gamechart.co.kr/subPage/subPage.php?ps=_gamerank&n_chart=1&period=week |제목=게임차트 게임 주간 순위 |출판사=게임차트|확인일자=2007년 10월 10일}} 이 순위는 언제든지 변동될 수 있습니다.</ref> 또한 《스타크래프트》는 대한민국에 [[PC방]]을 퍼뜨리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.<ref name="star2_busan">{{웹 인용|url=http://www.busanilbo.com/news2000/html/2007/0929/0N0020070929.1017163404.html
|제목=약방엔 감초 PC방엔 스타크|저자=최세헌|출판사=부산일보}}</ref>
 
[[파일:Televised Star Craft.jpg|thumb|250px|[[프로게이머]]들이 경기하는 모습이 [[MBC 게임]]을 통해 중계되고 있다.]]
[[1998년]] 7월에는 대한민국 최초의 프로 스타크래프트 리그인 KPGL이 개최되었으며, [[1999년]] 4월 KPGL과 PKO의 양대 리그가 성립되었다. 이를 계기로 [[프로게이머]]라는 직업이 본격적으로 활성화하였다. 이를 계승한 [[온게임넷]]과 [[MBC 게임]]은 [[2011년]]까지 프로 스타크래프트 리그의 명맥을 이어나갔다.<ref name="starleage2">{{웹 인용|url=http://www.dt.co.kr/contents.htm?article_no=2005040102010151671002
|제목=게임세상 혁명 꿈꾸는 신인류|저자=이택수|출판사=디지털타임스}}</ref>
[[2002년]]부터는 스타리그의 프로게이머 중에서는 연봉이 2억이 넘는 선수가 최초로 생겼고, 기업들의 광고와 후원도 많아졌다.
[[2004년]] 7월 SKY 프로 리그 2004 결승전에서는 10만 명의 관중이 모여 그 인기를 증명하기도 했다.<ref name="starleage1">{{웹 인용|url=http://www.dt.co.kr/contents.htm?article_no=2005052502152231671002
|제목=에버 스타 리그 8강전 부산 경성대서 열려|저자=이택수|출판사=디지털타임스}}</ref>
 
2000년대 초반에는 수많은 RTS 게임들이 스타크래프트를 누르기 위해 도전했으나 그 벽을 넘지 못하고 실패를 기록했다.<ref>{{뉴스 인용
|제목=〈스타크로 혼동되는 이라크전〉 이라크에 SCV·메딕 파병?
|url=http://news.empas.com/show.tsp/cp_st/20030401n01505/?kw=%BD%BA%C5%B8%20%3Cb%3E%26%3C%2Fb%3E%20%C5%A9%B7%A1%C7%C1%C6%AE%20%3Cb%3E%26%3C%2Fb%3E%20%BF%EB%BE%EE%20%3Cb%3E%26%3C%2Fb%3E%20gg%20%3Cb%3E%26%3C%2Fb%3E
|출판사=스포테인먼트
|저자=전형철
|날짜=2003-04-01}}</ref><ref>{{뉴스 인용
|제목=아리송한 10대 외계어 삐삐 숫자전송이 시초
|url=http://www.joongdoilbo.co.kr/jsp/article/article_detail.jsp?article_no=200608170002
|출판사=중도일보
|저자=배문숙
|날짜=2006-08-07}}</ref>
 
=== 다른 매체 ===
《스타크래프트》는 그 설정과 줄거리, 인물 등을 활용한 공식 소설과 [[전자책]]으로도 출판되었다.
 
* 《스타크래프트: 업 라이징》 (2000년) ISBN 00005AS12 (전자책으로만 출시)
* 《스타크래프트: 리버티스 크루세이드》 (2001년) ISBN 0-671-04148-7
** 《소설 스타크래프트 1 : 자유의 십자군》 (2002년) ISBN 89-8273-393-0
* 《스타크래프트: 젤'나가의 그림자》 (2001년) ISBN 0-671-04149-5
** 《소설 스타크래프트 2 : 젤'나가의 그림자》 (2003년) ISBN 89-8273-394-9
* 《스타크래프트: 어둠의 속도》 (2002년) ISBN 0-671-04150-9
* 《스타크래프트: 칼의 여왕》 (2006년 6월) ISBN 0-7434-7133-4
* 《스타크래프트 고스트: 노바》 (2006년 12월) ISBN 0-7434-7134-2
* 《[[스타크래프트 II: 천국의 악마들]]》
* 《스타크레프트 에쒸비》(2005~2009) 오현석
또한 만화가 [[김성모]]가 《스타크래프트》라는 작품을 발표하기도 하였고, 이 작품으로 인해 인터넷에서 [[드라군 놀이]]가 유행하였다. 2000년 경에는 [[신해철]], [[허니패밀리]], [[남궁연]] 등이 참여해서 스타크래프트를 주제로 한 옴니버스 음반이 나오기도 하였다.
== 후속 작품 ==
편집
3,342